어디에서도 인정을 받지 못하고 사랑을 받지 못한 사람이 교회라는 울타리 안으로 들어오면 무조건 인정받을 것을 기대합니다. 그런데 사람에게 인정받는 것일까요? 하나님께 인정을 받게 되는 것일까요? 사람에게 인정받는 것은 사회적으로 일반화된 조건들이 있습니다. 이것은 공동체가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회와 비슷한 현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벌이 좋거나 외모가 보기 좋을 때 인정받게 됩니다. 어느 순간 인품이나 헌신하는 태도가 좋아 보이게 되면 사회와 다른데 가치 있는 사람으로 존중받게 됩니다. 한발 더 나아가 교회라는 특징에서는 성령의 임재하심 속에 새롭게 변화가 일어나게 되면 사람의 몸을 가지고 있지만 하나님 나라의 영적인 존재로 인정받고 사랑받게 되는 것입니다. 아직도 사회에서 인정받던 습관대로 외형과 사회적 통염에 의해 인정받고자 하기 때문에 성장도 없고 신앙적 행복을 맛보지 못한 상태에 있는 것입니다.
미국의 심리학자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인간의 욕구는 다섯 단계로 형성된다는 욕구단계설(Maslow's hierarchy of needs)을 주장했습니다.
1단계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허기를 면하고 생명을 유지하려는 욕구로서 가장 기본인 생리적인 욕구와 의식주를 향한 욕구입니다.
2단계 안전의 욕구(Safety) 생리 욕구가 충족되고서 나타나는 욕구로서 위험, 위협, 박탈(剝奪)에서 자신을 보호하고 불안을 회피하려는 욕구입니다.
3단계 애정·소속 욕구(Love/Belonging) 가족, 친구, 친척 등과 친교를 맺고 원하는 집단에 귀속되고 싶어하는 욕구입니다.
4단계 존중의 욕구(Esteem) 사람들과 친하게 지내고 싶은 인간의 기초가 되는 자아 존중, 자신감, 성취, 존중, 존경 등에 관한 욕구입니다. 이런 4단계까지의 욕구에는 만족이 있습니다. '만족'은 '모자람이 없이 충분하고 넉넉함'을 뜻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욕구의 충족을 통해 만족을 누리려 합니다. 그런데 마지막 단계는 다른 욕구와 차이가 있습니다.
5단계 자아실현 욕구(Self-actualization)인데 자기를 계속 발전하게 하고자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려는 욕구입니다. 자아실현 욕구는 충족될수록 더욱 증대되는 경향을 보여 '성장 욕구'라고 하기도 합니다. 결국 우리는 욕구를 채워야 할지 아니면 비워야 할지, 어떻게 만족할 수 있을지, 만족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하나님 나라에 대한 비전을 나눌 수 있는 수준까지 성장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첨부 파일 |
---|---|---|---|---|
690 | 좋은 사람으로 평가받고 싶어서 | 신성교회 | 2025-09-13 | |
689 | 믿음이 있는 사람의 특징 자족 | 신성교회 | 2025-09-06 | |
688 | 되돌릴 수 없는 아이와 시간 | 신성교회 | 2025-08-29 | |
687 | 세대간의 갈등을 이해합시다. | 신성교회 | 2025-08-23 | |
686 | 부유함이 아니라 부요함 | 신성교회 | 2025-08-20 | |
685 | 아주 작은 방심이 가져오는 위험 | 신성교회 | 2025-08-10 | |
684 | 정말 빵 때문에 죽어갈까? | 신성교회 | 2025-08-02 | |
683 | 익숙함에 속한 소중함을 잊지 말자 | 신성교회 | 2025-07-25 | |
682 | 나의 가치는 내가 만드는 것이다 | 신성교회 | 2025-07-19 | |
681 | 사랑받기 위해서 | 신성교회 | 2025-07-12 | |
680 | 경계선이 주는 교훈 | 신성교회 | 2025-07-05 | |
679 | 항구에 묶어둔 어선 | 신성교회 | 2025-06-28 | |
678 | 그만이라고 말하고 싶은데 | 신성교회 | 2025-06-21 | |
677 | 단기선교팀이 프놈펜에 전해준 약 | 신성교회 | 2025-06-13 | |
676 | 몸이 보내는 신호에 귀를 기울이라 | 신성교회 | 2025-06-07 |
댓글